좀처럼 접하기 어려운 사진전이 예술의 전당에서 열리고 있다.
마크 리부의 에펠탑의 페인트공 사진전.
나의 경우 가끔은, 사진을 보면서 음악이 들리기도 하고
어떨 땐 시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이번 마크 리부는 스토리가 들리는 듯했다.
좋은 사진전인데 사람들이 많이 찾지 않는 것 같아 안타깝다.
이번 전시는 도슨트도 마련해놓고 있어서 친절한 설명도 들을 수 있어서 감상에 도움이 된다.
여담이지만 전시회답게 사진찍는 것도 자유롭게 허용하고 있었다.
평소 전시회에서 사진을 못찍게 하는 걸 이해못하고 있었는데, 기획자의 열린 자세도 맘에 든다.
아래는 한겨레신문의 곽윤섭기자의 글을 퍼왔다. 물론 링크도 걸어놓는다.
-------------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로버트 카파 등과 더불어 매그넘의 1세대를 구성했던 사진가들 중에 유일한 생존작가인 마크 리부(1923~ )의 첫 한국 회고전 <에펠탑의 페인트공>이 서울 예술의 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에서 시작됐다. 오로지 한국 관객들만을 위해 준비된 이번 전시는 마크 리부의 감수 아래 그의 아들과 문하생들이 직접 고른 190여 점이 걸리는 대형기획전이다.
마크 리부를 사진가의 반열에 오르게 한 ‘에펠탑의 페인트공(1953년 작)’은 그 뒤로 5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그의 사진 세계를 규정하는 한마디 표현, ‘우아한 일상’을 떠올리게 하는데 부족함이 없다. 수 백 미터 상공에서 단 한 줄의 안전장치도 없이 편안하게 작업을 즐기는 듯한 페인트공은 한 마리 나비처럼 보인다. 팔다리와 철골구조가 만든 선과 면 덕택이다.
저우언라이와의 인연으로 1957년 유럽사진가들 중 처음으로 폐쇄된 공산국가 중국에 들어가 마오쩌둥, 덩샤오핑 등 유력 지도자를 찍었던 마크 리부는 그 외에도 수많은 걸작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지금도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반전이미지로 남아있는 ‘꽃을 든 여인’이다. 1967년 10월 미국 펜타곤 앞에서 열린 베트남전 반대시위에서 찍었다. 꽃무늬 옷을 입은 젊은 여성, 얀 로즈 카시미르는 손에 꽃 한 송이를 들고 총검으로 무장한 군인들의 행렬 앞에 버티고 서서 평화를 호소하고 있다. 이 사진은 반전시위의 포스터나 피켓으로 반복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 개봉한 ‘맨인블랙3’에서도 악당에게 꽃을 주는 장면이 패러디로 등장할 정도로 자주 전유되고 있다.
마크 리부는 그를 이끌어준 두 스승의 접점에 있는 것 같다. 셔터를 누르는 순간 작품을 완성했다는 브레송의 깔끔함과 거침없이 세상과 조우했던 카파의 자유로움을 모두 간직한 그의 작품은, 그래서 세련된 아름다움과 더불어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사진집 서문에서 “뷰파인더를 통해 각운과 리듬을 발견해내는 것은 큰 즐거움이다. 나는 마치 음악을 듣거나 시를 읽는 것처럼 거리의 정경이나 아련한 풍경을 찍는다”라고 밝힌 마크 리부는 “당신 사진 중에서 최고의 걸작이 뭐냐?”고 물어오면 “바로 내일 찍을 예정이다”라고 답하곤 한다. 전시는 8월 5일까지 열린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한국에서 언제 또 그의 사진을 만날 수 있을까 싶다.
원문보기 http://photovil.hani.co.kr/220842